파란색 테마로 변경 녹색 테마로 변경 회색색 테마로 변경

말라리아

말라리아 감염병을 안내 해드립니다.

  • 지침 신고서식 역학조사서 통계

 

정의 

말라리아는 열원충속(Genus Plasmodium)에 속하는 원충(P. vivax, P. ovale, P. malariae, P. falciparum, P. knowlesi감염에 의한 급성 발열성 질환

 

매개체

얼룩날개모기속(Anopheles spp.)에 속하는 암컷 모기가 인체를 흡혈하는 과정에서 전파

 

전파경로

드물게 수혈이나 주사기 공동사용에 의해 전파

사람 간 직접 전파는 발생하지 않음

 

잠복기

일반적으로 7~30

삼일열원충난형열원충은 장기잠복하여 모기에 물린 후 몇 달 또는 몇 년 후에 발생할 수 있음

 

임상증상

­ 대부분 증상이 없거나, 발열 및 두통 등 가벼운 증상이 나타남

- 초기 증상은 무기력증과 발열이며, 두통, 복통, 메스꺼움, 구토 등을 할 수 있음

- 감염된 250명 중 1명은 바이러스가 뇌로 퍼지면서 고열, 발작, 목 경직, 착란, 떨림, 경련 마비 등 심각한 증상이 나타나며, 이 중 20~30%는 사망할 수 있음

 

호발시기 및 위험지역

말라리아 환자 발생은 5-10월 사이에 집중되며, 주로 휴전선 인근지역인 인천, 경기강원 북부 지역에서 감염

 

법정감염병

3

 

진단 신고 기준

신고범위 : 환자의사환자병원체보유자 

신고를 위한 진단기준

- 환자말라리아에 부합되는 임상증상을 나타내면서 확인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따라 감염병병원체 감염이 확인된 사람

- 의사환자(추정환자): 임상증상 및 역학적 연관성을 감안하여 말라리아가 의심되며추정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따라 감염이 추정되는 사람

-병원체보유자임상증상은 없으나 확인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따라 말라리아 원충이 확인된 사람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확인진단

   검체(혈액)에서 도말검사로 말라리아 원충 확인

    - 검체(혈액)에서 특이 유전자 검출

  ​○ 추정진단

    - 검체(혈액)에서 특이 항원 검출(신속진단키트 포함

 

신고시기: 24시간이내 신고

 

신고방법 : 감염병 발생 신고서를 작성하여 관할 보건소로 팩스 또는 웹(https://is.kdca.go.kr)의 방법으로 신고

  * 사망(검안신고는 감염병환자등 사망(검안신고서병원체검사결과 신고는 병원체 검사결과 신고서를 작성하여 추가 신고

질병관리청 담당부서 : 인수공통감염병관리과, 매개체분석과(진단)

질병보건통합시스템 (http:// is.cdc.go.kr) 온라인 검사의뢰 절차

- (감염병 신고시)
       감염병관리통합정보지원 환자감시 감염병웹신고 또는 보고신고 또는 보고내역관리 조회 감염병보고 목록에서 환자선택 검사의뢰

- (감염병 미신고시)
       감염병관리통합정보지원 병원체확인 검사의뢰현황관리 검사의뢰접수 현황관리 검사의뢰

 

Q&A

 

Q. 말라리아를 예방하려면 어떻게 하나요?

A. -국내외 말라리아 위험지역 방문 시 모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최선의 예방책이며,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모기장 및 모기 기피제 등을 사용하고, 외출 시에는 밝은색의 긴팔, 긴바지를 착용하는 등의 예방수칙을 준수해야 합니다. 특히, 국외 말라리아 위험지역(아프리카 등)을 여행하는 경우, 전문의와 상의 후 적절한 예방약을 복용해야 합니다.
여행 중 또는 여행 후 의심 증상이 발생하는 경우 반드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국내외 여행력을 알리고 진료받아야 합니다.

 

Q. 우리나라 말라리아 위험지역은 어디인가요?

A. -국내 말라리아 위험지역은 인천광역시, 경기도, 강원도에 분포하고 있으며 최근 3년간 환자 발생 현황을 참고하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질병관리청에서 매년 선정하여 발표하고 있습니다.

 

Q. 국내 말라리아 위험지역을 여행하는 때도 예방약 복용이 필요한가요?

A. -아닙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국내에서 말라리아 위험지역을 방문한다고 하여 예방약 복용을 권고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다만, 국내 말라리아 위험지역을 방문하는 경우에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모기장 및 모기 기피제 등을 사용하고, 외출 시에는 밝은색의 긴 팔, 긴바지를 착용하는 등의 예방수칙을 준수해야 합니다.

 

Q. 국내 말라리아는 재발이 되나요? 

A. -국내 말라리아의 경우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재발할 수 있으므로, 의사의 방에 따라 용법 및 용량에 맞게 항말라리아제를 모두 복용해야 합니다.

 


최종 업데이트 일시 : 2023-08-01
해당 부서 : 인수공통감염병관리과
환자감시문의 : 043-719-7171
역학조사문의 : 043-719-7174
환자관리문의 : 043-719-71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