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란색 테마로 변경 녹색 테마로 변경 회색색 테마로 변경

지카바이러스감염증

지카바이러스감염증 감염병을 안내 해드립니다.

  • 지침 신고서식 역학조사서 통계

지카바이러스 발생국가현황 

  ○ 분류기준 

    - 최근 발생국가 : ① 현재 유행이 진행 중인 신규발생 국가 또는, ② '15년 이전 바이러스 전파에 대한 실험실적 증거가 있거나 토착화되어 환자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지역(유행 종료 근거 없음)

    - 과거 발생국가 : 현재 유행이 종료되었으나(유행 종료 근거 있음) 향후 재유행 가능성이 있는 지역

  ○ 발생국가 현황

    - 현재 혹은 이전 지카바이러스 전파 국가(영토) 87(ʼ19.7.2.기준)

    - 지카바이러스 감염증의 실험실 진단기준을 충족하며 환자가 자생적(autochthonous)으로 발생한 국가(영토) 

 WHO 지역

현재 혹은 이전 전파 국가 및 영토 

미주

(AMRO/PAHO)

앵귈라, 앤티가바부다, 아르헨티나, 아루바, 바하마, 바베이도스, 벨리즈, 볼리비아, 카리브 네덜란드, 세인트유스타티우스 사바, 브라질,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케이맨 제도, 콜롬비아, 코스타리카, 쿠바, 퀴라소, 도미니카연방, 도미니카공화국, 에콰도르, 엘살바도르, 프랑스령 기아나, 그레나다, 과들루프, 과테말라, 가이아나, 아이티, 온두라스, 칠레(이스터섬), 자메이카, 마르티니크, 멕시코, 몬트세라트, 니카라과, 파나마, 파라과이, 페루, 푸에리토리코, 생바르텔레미, 세인트키츠네비스, 세인트루시아, 세인트마틴, 세인트빈센트그레나딘, 신트마르틴, 수리남, 트리니다드 토바고, 터크스케이케스 제도, 미국,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베네수엘라

동남아시아 

(SEARO)

방글라데시, 인도, 인도네시아, 몰디브, 미얀마, 태국

서태평양

(WPRO)

미국령사모아, 캄보디아, 쿡섬, 피지,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라오스, 마셜제도, 말레이시아, 마이크로네시아, 뉴칼레도니아, 팔라우, 파푸아뉴기니, 필리핀, 사모아, 싱가포르, 솔로몬제도, 통가, 바누아투, 베트남 

 아프리카

(AFRO)

앙골라, 부르키나파소, 브룬디, 카보베르데, 카메룬,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코트디브아르, 에티오피아, 가봉, 기니비사우, 나이지리아, 세네갈, 우간다 



정 의

지카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 질환

 

병원소

모기

사람 및 영장류(Nonhuman)

 

매개체

숲모기류(Aedes aegypti, Aedes albopictus )

 

전파경로

감염된 매개모기를 통해 전파

○ (기타전파) 성접촉, 수직감염, 수혈감염 가능

 

증상

주 증상으로는 발진이며 다음 증상 중 하나 이상의 증상이 동반

동반증상:관절통/관절염, 근육통, 비화농성 결막염/결막충혈

 

잠복기

평균 3~ (1~12)

 

치사율

극히 낮음

 

법정감염병

4

 

진단 신고 기준

▣ 신고범위 : 환자, 의사환자, 병원체보유자

▣ 신고를 위한 진단기준

  환자 :

     - 선천성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선천성 ​지카바이러스 감염증에 부합되는 임상증상을 나타내면서 확인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따라 감염병병원체 감염이 확인된 사람

     - 후천성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후천성 ​지카바이러스 감염증에 부합되는 임상증상을 나타내면서 확인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따라 감염병병원체 감염이 확인된 사람

  의사환자

    - 추정환자 : 임상증상 및 역학적 연관성을 감안하여 지카바이러스 감염증이 의심되며, 추정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따라 감염이 추정되는 사람

  ○ 병원체보유자 : 임상증상은 없으나 확인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따라 감염병병원체 감염이 확인된 사람

역학적 연관성 : 증상 시작 전 2주 이내

   ①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발생국가 여행력

   ② 지카바이러스 감염자와 성접촉

   ③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발생지역에 최근 6개월 이내 방문 이력이 있는 사람과 성접촉

   ④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발생국가에서 수혈력이 있는 경우

▣ 임상증상

  ① 선천성 지카바이러스감염증

     -  감염된 모체에 의한 수직감염으로 소두증이나 두개 내 석회화 병변, 기타 선청성 장애(선천적 난청, 선천성 백내장, 정신지체 등)초래 

  ② 후천성 지카바이러스감염증

      - 반점구진성 발진과 함께 다음증상 중 2개 이상 증상 동반

      * 발열, 비화농성결막염/결막충혈, 관절통, 근육통. 관절주의 부종 등

  ③ 때로 신경계증상(길랑바래증후군) 나타남

▣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확인 진단

   ­ - 검체(급성기 혈액)에서 바이러스 분리

   ­ - 회복기 혈청의 항체가가 급성기에 비하여 4배 이상 증가

   ­ - PRNT법을 이용하여 바이러스 특이 항체 검출

   ­ - 검체(혈액, 소변)에서 바이러스 특이 유전자 검출

  추정 진단

   ­ 검체(혈액)에서 ELISA를 이용하여 바이러스 특이 IgM 항체 검출

▣ 신고시기 : 지체없이 신고

▣ 신고방법 : 감염병 발생 신고서를 작성하여 관할 보건소로 팩스 또는 웹(http://is.kdca.go.kr)의 방법으로 신고

 * 사망(검안) 신고는 감염병환자등 사망(검안) 신고서, 병원체검사결과 신고는 병원체 검사결과 신고서를 작성하여 추가 신고

▣ 질병관리청 담당부서 : 인수공통감염병관리과

 

FAQ

Q1. 지카바이러스(Zika virus)는 어떻게 감염되나요?

지카바이러스에 감염된 숲모기에 의해 감염되며, 지카바이러스가 확인된 지역을 여행하는 여행객은 감염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Q2. 지카바이러스감염증의 증상은 무엇인가요?

○ 감염될 경우 80%는 증상이 없으며, 발병시 주요 증상은 발진, 발열, 관절통, 근육통, 눈충열 등이 있고, 감염된 모기에 물린 후 214일 이내 증상이 나타납니다. 

○ 드물게 신경계 합병증(길랑-바레 증후군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임신부 감염시 태아 소두증 등의 신경계 질환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Q3.: 유행지역은 구체적으로 어떻게 되나요?

최신 지카바이러스 발생국가 정보는질병관리청홈페이지(www.kdca.go.kr) 또는해외여행질병정보사이트’(해외감염병now.kr)에서 확인 가능

Q4.: 지카바이러스 감염증의 증상은 무엇인가요?

보통 감염된 모기에 물린 후 3~7일이 지나서 증상이 시작 되고 최대 잠복기는 2주입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발열, 발진, 관절통, 눈 충혈이 있고 그 외 근육통, 두통, 안구통, 구토가 동반될 수 있습니다. 증상은 대부분 경미하며 3~7일 정도 지속될 수 있고 중증 합병증은 드물고 사망사례는 보고된 적이 없습니다.

Q5. 지카바이러스 감염증은 어떻게 예방하나요?

현재까지 예방접종은 없으나 모기 노출을 최소화하여 예방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방법은 활동 시 모기기피제 사용, 긴소매, 긴바지 착용을 하고 수면시에는 모기장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Q6. 임신부인데 나와 태아를 위해 무엇이 필요하나요?

질병관리청에서는 지카바이러스 발생국가로의 여행을 출산 이후로 연기할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여행이 불가피한 경우는 여행전 의사의 상담을 받고 여행국가에서 모기 회피에 대해 각별히 주의가 필요합니다.

Q7. 임신중에 발생국가를 다녀왔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여행에서 돌아와 2주 이내에 발열, 발진, 관절염, 충혈 등 지카바이러스 의심증상이 발생하면 의료기관에 방문하여 진료를 받으시면서 해외 여행력을 꼭 이야기 해주세요. 태아에게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에 대해서 확인하기 위해서는 산부인과에서 산전 진찰을 통해서 모니터링 할 필요가 있습니다.

Q8. 모기기피제가 임신부에게도 안전한가요?

각국에서 허가된 모기기피제의 경우 임신부에게도 안전하고 효과적입니다. 다만 제품별로 사용법의 차이와 주의사항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확인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Q9. 지카바이러스에 감염되었다면 무엇을 해야 하나요?

○ 충분한 휴식과 수분 보충이 필요하고 모기를 통해 다른 사람에게 전파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모기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 하여야 합니다. 확진자 및 병력자의 경우 6개월 간 헌혈하지 않도록 합니다.


최종 업데이트 일시 : 2023-03-27
해당 부서 : 인수공통감염병관리과
환자감시문의 : 043-719-7175
역학조사문의 : 043-719-7170
환자관리문의 : 043-719-7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