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루엔자]
○ 개요
◎ 인플루엔자는 매년 겨울철에 유행하여 건강인에서 업무상의 차질을 일으키고 노인, 만성질환자, 영유아, 임산부 등 고위험군에서 이환률 및 사망률의 증가를 초래해 막대한 사회·경제적 손실을 유발하는 질환
○ 원인
◎ 원인병원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Influenza virus A, B, C)
◎ 감염경로: 비말매개감염으로 전파됨
○ 증상
◎ 잠복기: 1~4일(평균 2일)
◎ 증상 시작 1일전부터 발병 후 5일까지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분비되는 호흡기 비말을 통해서 사람에서 사람으로 전파
◎ 임상증상: 38°C 이상의 갑작스러운 발열, 두통, 근육통, 피로감 등의 전신증상과 기침, 인후통, 객담 등의 호흡기 증상을 보임
○ 진단
◎ 임상 및 역학적 진단
◎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검체 등에서 바이러스 분리
○ 검체 등에서 바이러스 특이 유전자 검출
○ 회복기 혈청의 특이 항체가 급성기에 비하여 4배 이상 증가 또는 인플루엔자 특이항체 확인
○ 치료
◎ 대증치료
◎ 인플루엔자 특이 항바이러스제 투여: 고위험군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
○ 예방
◎ 인플루엔자 백신
○ 70~90%의 예방효과
○ 노인: 독감 예방, 폐렴에 의한 입원 방지, 사망 예방
○ 인플루엔자 우선 접종 대상자
- 만성폐질환자, 만성심장질환자
- 만성질환으로 사회복지시설 등 집단 시설에서 치료, 요양, 수용 중인 사람
- 만성간질환자, 만성신질환자, 신경-근육 질환, 혈액-종양 질환, 당뇨환자, 면역저하자(항암제 등 약제에 의한 경우, HUIV 감염 등), 아스피린 복용 중인 6개월~18세 소아
- 65세 이상의 노인
- 의료인
- 만성질환자, 임신부, 65세 이상 노인과 함께 거주하는 자
- 0~59개월 유아와 함께 거주하거나 돌보는 경우
- 임신부
- 50세~64세 성인
- 생후 6개월~59개월 소아
◎ 예방접종
○ 생후 6개월~만 8세 소아:1또는 2회 접종
○ 만9세 이상~성인: 1회 접종
◎ 예방적 화학요법
○ 대상
항바이러스제의 노출 전 예방적 사용은 중증의 합병증이 우려되는 사람(장기 이식병동입원 환자, 심각한 면역 저하 환자, 신생아실 입원 중인 신생아 등)에서 백신 사용이 어렵거나 백신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경우에 한하여 제한적으로 시행함
항바이러스제의 노출 후 예방적 사용은 고위험군 노출자에 국한하여 사용함
○ 방법: 노출 전 예방적 항바이러스제는 유행기간 동안 복용, 노출 후 예방적 항바이러스제는 10일간 투여
○ 신고기준
◎ 신고범위: 환자, 의사환자
◎ 신고시기: 7일 이내 신고(매주 화요일까지)
◎ 신고를 위한 진단기준
○ 환자: 인플루엔자에 부합되는 임상증상을 나타내면서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따라 감염병병원체 감염이 확인된 사람
○ 의사환자: 38°C 이상의 갑작스러운 발열과 더불어 기침 또는 인후통을 보이는 자
○ 관련 정책 및 지원사업
◎ 노인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
◎ 어린이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
○ 관련 정보
◎ 인플루엔자 관리 지침 [바로가기]
◎ 시설별 인플루엔자 관리 가이드라인 (요양시설/어린이집/유치원/학교) [바로가기]
◎ 표본감시감염병 신고안내 [바로가기]
◎ 2017-2018절기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 관리지침 [바로가기]
○ 인플루엔자 FAQ [바로가기]
○ 기타
◎ 국내 환자 발생 현황: 인플루엔자 의사환자 분율 현황 [바로가기]
◎ 참고자료
○ 질병관리청 표본감시 주간소식지(매주 목요일 발간) [바로가기]
○ 2018 법정감염병 진단·신고 기준 [바로가기]
◎ 참고 사이트
○ 질병관리청 감염병포털 [바로가기]
○ 국제보건기구 홈페이지 [바로가기]